[99클럽 코테 스터디 5일차 TIL] H-Index 문제 풀이
문제
프로그래머스 - H-Index 문제를 보고 풀이한 내용이다.
H-Index는 과학자의 생산성과 영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 어느 과학자의 H-Index를 나타내는 값인 h
를 구하려고 합니다. 위키백과에 따르면, H-Index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.
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 n
편 중, h
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
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
번 이하 인용되었다면 h
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-Index입니다.
어떤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인용 횟수를 담은 배열 citations
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이 과학자의 H-Index를 return
하도록 solution
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과학자가 발표한 논문의 수는 1편 이상 1,000편 이하입니다.
- 논문별 인용 횟수는 0회 이상 10,000회 이하입니다.
풀이
9시부터 진행하는 모각코 세션동안 풀어보려고 노력했으나..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. 결국 풀이 세션을 듣고 나서야 이해되어서 풀 수 있었다.
먼저, 현재 논문은 총 5편이다. h
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
편 이상이어야 하기 때문에 h
는 전체 논문 수를 넘을 수 없다. 즉, 0 <= h <= citations.length
이다. 또 아래와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H-Index로 채택될 수 있다.
- 5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5편이라면(
h = 5
),citations
의 첫 번째로 인용 수가 많은 논문의 인용 수는 5 이상이어야 한다. - 4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4편이라면(
h = 4
),citations
의 두 번째로 인용 수가 많은 논문의 인용 수는 4 이상이어야 한다. 3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3편이라면(
h = 3
),citations
의 세 번째로 인용 수가 많은 논문의 인용 수는 3 이상이어야 한다.…
따라서 전체 논문 인용 횟수 배열인 citations
를 오름차순 정렬 후, 인용 횟수와 비교하며 현재 선택된 논문 인용 수가 h
이상일 때 해당 값을 H-Index로 저장해주면 된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public int solution(int[] citations) {
int answer = 0;
// h번 이상 인용된 논문이 h편 이상이고 나머지 논문이 h번 이하 인용되었다면
// h의 최댓값이 이 과학자의 H-Index
// 논문 인용 수 오름차순 정렬 [0, 1, 3, 5, 6]
Arrays.sort(citations);
for (int i = 0; i < citations.length; i++) {
// 인용 횟수
int h = citations.length - i;
// 현재 선택된 논문의 인용 수가 현재 논문 개수 이상이라면 H-Index 선정
if (citations[i] >= h) {
answer = h;
break;
}
}
return answer;
}
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.0 by the author.